세부연구과제

연구개발방향

정책 분석에 따른 시사점
정책 분석에 따른 시사점
SO전략
  • 결로방지 설계기준 개선 및 인프라 활용 결로방지 기술 연구 수행
WO전략
  • 결로방지 설계기준 적용 범위 확대 및 성능 표준, 설계 디테일 마련
ST전략
  • 민원/하자 분쟁 감소 및 수요자 중심 성능 개선 정책 수립
WT전략
  • 결로 취약부위 설계기준 마련 및 기술 성능 표준화

강점

  • 정부지원을 통한 성능시험 시설 등 인프라 구축 및 활용
  • 결로 하자 관련 대응 기술 및 경험 풍부
  • 선진국 대비 강력한 결로방지 성능 기준 마련

약점

  • 한정적 범위의 결로방지 설계기준에 의한 제한적 적용
  • 결로방지에 대한 정책적, 기술적 표준 미비
  • 결로방지를 위한 표준 건축 설계 디테일 미비

기회

  • 주거복지 확대를 위한 정부의 강한 지원 의지
  • 정부의 공동주택 결로방지 설계 기준 마련
  •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 증가

위협

  •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 및 세대 기밀화로 실내 결로발생 위험성 증가
  • 공급자 중심의 주거복지 정책에 의한 정책 효율성 저하
  • 민원 및 하자 분쟁에 대한 소송 증가
시장 분석에 따른 시사점
시장 분석에 따른 시사점
SO전략
  • 신기술 활용 및 기존 단열소재/시스템 개선, 성능 검증
WO전략
  • 평면/단열공법 대응 표준 설계 디테일 개발 및 중소기업 자재 DB 구축
ST전략
  • 비용효율적인 결로방지 솔루션 패키지 개발 및 실용화 기술 개발
WT전략
  • 정부 포털 활용한 DB 공유 및 평가 표준 통한 기술 성능 보장

강점

  • 기존 결로 하자 관련 대응 기술 및 사례 풍부
  • 단열소재 및 시스템 등의 성능 향상
  • 각종 결로방지 요소 기술 및 자재(단열 몰탈, 단열 페인트, 단열 스페이서, 창호 단열커버 등) 기 확보

약점

  • 공동주택 평면 유형 증가로 단열 취약부위 다수 발생 및 표준화 어려움
  • 결로방지 기술 적용 후 성능 향상 정도의 평가 표준 부재
  • 성능 검증되지 않은 기술의 주먹구구식 적용

기회

  • 공동주택 거주자의 주거복지 향상에 대한 요구 증가
  • 산업 분야별 융합 정책으로 타 산업 신소재 기술의 도입 가능성 향상
  • 중소기업 육성 정책으로 결로방지 자재 및 시스템 기업의 성장 가능성 향상

위협

  • 건설산업의 보수성
  • 신기술 적용 시 시공 비용 상승에 대한 두려움
  • 기존 건설시장 성장세 둔화로 신기술 개발에 대한 의지 약화

연구개발 핵심성과

(3-1세부) 결로방지를 위한 국가차원의 성능기반 설계기준 및 평가표준 개발

(3-1세부) 결로방지를 위한 국가차원의 성능기반 설계기준 및 평가표준 개발
대상부위 확대 및 설계기준 개선을 통한
'공동주택 결로방지를 위한 설계기준'
고시 개정안
해석법 및 현장진단법에 의한
공동주택의 결로방지성능 평가 표준(KS)
단지단위의 결로방지성능 평가지표
(CRI, Condensation Risk Index)
및 평가방법
  • 90% 이상 생활환경 조건 만족하는 결로방지 설계기준 개발
  • 단열, 환기, 제습 등 부위별 적정 평가기준 제시
  • 지역별 외기온 추가 분석 및 단열설계 기준 고려한 결로방지설계 지역구분 제시
  • 해석법에 의한 결로방지성능 평가 표준(KS) : 경계조건, 해석조건 명확히 검증하고 표준(KS) 신설
  • 현장진단법에 의한 결로방지성능 평가 표준 : 준공 건물 대상의 설계기준 만족 여부에 대한 현장진단법에 의한 평가 표준(KS) 신설
  • 1,0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 발급 및 표시 의무화된 공동주택성능등급 인증서 위한 결로방지성능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도출
  • 소음, 실내공기질과 더불어 종합적인 생활밀착형 공동주택 성능등급 표시 (누수 부분은 4세부에서 진행)

[결로방지 설계기준(고시)]

[결로방지 성능 평가 표준(KS)]

[공동주택성능등급 인증서]

(3-2세부) 결로방지 가이드라인 개발

(3-2세부) 결로방지 가이드라인 개발
내, 외, 이중 단열공법 모두 포함한 결로방지를 위한 국가차원의 표준상세도, 시방서, 설계 지침서, 하자 분쟁 사례집 결로방지 보수 지침서, 운전 지침서
  •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단열공법별 결로취약 부위의 표준상세도 작성
  • 각종 설계, 시공상 특기사항 반영한 설계지침서 및 전문시방서 작성(이상 설계기준 고시부속서화)
  • 부위, 경과년도, 지역, 평면타입 등 결로발생 유형별 구분 및 하자분쟁 사례 정리
  • 사용자 및 시스템 운전 패턴에 따른 실내환경 변화 분석, 결로부위 보수 가이드라인 및 결로 예방을 위한 운전 가이드라인 작성
  • 결로방지 솔루션 패키지자재, 시스템 DB와 연계하여 활용

[표준 상세도]

[설계지침]

[보수, 운전 지침서]

(3-3세부) 결로방지 요소기술 개발 및 실증

(3-3세부) 결로방지 요소기술 개발 및 실증
단열보강·구조개선 시스템창호 시제품 결로방지형 문 시제품 비용효율적 공동주택 외단열시공법
  • 구조보강 위해 창틀 내 삽입되는 열전도율 높은 스틸튜브 인접 창틀 단열보강
  • 유리유닛과 창틀간 기밀화, 결로수 자연증발 유도 가능하도록 가스켓 및 수평틀 구조 개선
  • 문틀, 문짝 고단열, 고기밀성 확보
  • 발열체 이용, 방화문의 실내 표면온도 능동 제어
  • 측정 온습도 기반하여 결로 방지되도록 발열체 온도 제어
  • 국내 공동주택 가설재 없이 시공되어 열교 제거에 효과적인 외단열 시공 곤란
  • 콘크리트 타설 전 갱폼내 외단열재 선 삽입, 갱폼 하부 달 비계 설치 통한 골조 외단열 공사 동시 진행, 크레인 활용한 외단열 시공 등의 공법 평가
  • 기존 곤도라 작업에 의한 외단열 시공대비 시공비용공기 10% 이상 절감

[스틸튜브 인접
창틀 표면온도
저하]

[가스켓
설치불량]

[문틀, 문짝 단열, 기밀]

[발열체 제어]

[곤도라 작업
(국내)]

[크레인 이용한
이동식 비계
(국외)]

(3-3세부) 결로방지 요소기술 개발 및 실증
결로취약 부위별 비용효율적 솔루션 패키지 및 핸드북
  • 신축, 기존 공동주택의 세대전용부 난방/비난방공간, 공용부(지하) 결로취약 부위별 결로방지 요소기술 조합안 도출, 성능평가
  • 요구 결로방지 성능 확보 확인된 비용효율적 솔루션 패키지 및 기술보급 핸드북(성능데이터, 설계도서, 적용지침 포함) 제공

[복층유리, 삼중유리 적용시 결로발생 위험부위 표시]

솔루션 패키지 개발 대상 부위, 적용가능 요소기술(안)
신축 공동주택/기존 공동주택
신축 공동주택 기존 공동주택
구 분 결로취약부위 결로방지 요소기술 구 분 결로취약부위 결로방지 요소기술
세대

전용부

난방공간
창 호  시스템창호 내부 보강철물 인접 틀 단열 개선, 프레임 구조개선 세대

전용부

난방공간
벽/천정/바닥 항곰팡이 페인트, 벽지 등 시공
유리유닛 단열 스페이서 설치, 로이코팅, 삼중유리, 가스충진 등 창호 창호 교체
(외기 직접면) 이중창 설치(비확장 발코니 제외) 창호 추가설치로 이중창화
창틀-창짝간 기밀성 확보 시스템창호 단층, 복층유리 추가설치
창짝-유리유닛간 기밀성 확보(가스켓, 실런트 등) 유리 단열커버 추가 설치
세대현관문 (계단실형) 결로방지형 세대현관문 설치(방화문) 프레임 단열커버 추가 설치
(복도식) 결로방지형 세대현관문 설치 창틀-창짝간, 창짝-유리유닛간 기밀화(가스켓, 모헤어, 실런트)
문틀 패킹 및 기밀성 확보 세대현관문 문틀 패킹 및 기밀성 확보
(복도식) 복도 외측창호 설치 검토 문틀, 문짝 단열커버 추가 설치
붙박이장 붙박이장 개선(시스템선반, 갤러리문, 조습/제습시스템 설치 등) 붙박이장 붙박이장 개선(시스템선반, 갤러리문, 조습/제습시스템 설치 등)
드레스룸 욕실 팬 연동 환기팬, 환기구 추가 드레스룸 욕실 팬 연동 환기팬, 환기구 추가
욕 실 배기팬 연동에 의한 습도저감 시스템 적용 욕실 배기팬 연동에 의한 습도저감 시스템 적용
변기/샤워실 구획 변기/샤워실 구획
Dry/wet 겸용 Floor 적용(타일 줄눈 결로, 곰팡이 감소) Dry/wet 겸용 Floor 적용(타일 줄눈 결로, 곰팡이 감소)
타일 줄눈 결로, 곰팡이 저감 마감공법 적용 타일 줄눈 결로, 곰팡이 저감 마감공법 적용
주방 조리공간 구획 주방 조리공간 구획
폐쇄형 후드 적용 폐쇄형 후드 적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보관함, 정화조 등) 적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보관함, 정화조 등) 적용
세대전체 외단열 시공 세대전체 세대 환기, 주방 및 욕실 배기 적정화, 자동제어
세대 환기, 주방 및 욕실 배기 적정화, 자동제어
세대

전용부

비난방
공간
비확장 발코니
(대피공간, 세탁실, 실외기실 등)
(외기 직접면) 외측벽체 단열재설치 세대

전용부

비난방

공간
비확장 발코니
(대피공간, 세탁실, 실외기실 등)
대피공간, 실외기실 방화문 결로방지성능 확보
(세탁실, 실외기실 등 : 단열재+표면판, 대피공간 : 단열재+CRC 보드 등)
외측 벽면 환기구 설치, 수납공간 갤러리문 설치 발코니 출입문(터닝도어) 기밀성 확보 
외측 창호 환기구 설치
대피공간, 실외기실 결로방지형 방화문 설치
발코니 출입문(터닝도어) 기밀성확보  항곰팡이 페인트 도장
별도 쓰레기 분리수거 공간 계획
컴팩트 세탁실 공간계획
항곰팡이 페인트 도장
공용부 지하주차장 자연, 기계환기 적정화 공용부 지하 주차장 기계환기 적정화
무덕트 유인팬 설치 적정화 무덕트 유인팬 설치 적정화
이중벽, 통기구 설치 적정화 이중벽, 통기구 설치 적정화
제습기 설치 적정화 제습기 설치 적정화
지하 E/V 홀 및 계단실 외벽 : 이중벽, 바닥 : 액방+단열재+바닥배수판 등 설치 지하 E/V 홀 및 계단실 단열 보강(덧댐, 사춤 등)
출입통로 및 엘리베이터 홀 환기 적정화 출입통로 및 엘리베이터 홀 환기 적정화
제습기 설치 적정화 제습기 설치 적정화
결로방지 자재, 시스템 온라인 DB
  • 성능(시험성적서 등), 적용사례 및 효과, 적용지침, 제조사, 비용 등 정보 DB 구축
  • 검증된 자재 성능 데이터(열전도율 등)은 결로방지성능 해석 S/W의 재료 물성치 라이브러리에 활용
  • 정부 포털시스템(WINC-Free) 통해 서비스하여 자발적 데이터 업로드, 업데이트 및 성능 개선 유도

[자재, 시스템 DB 예시 (PHI)]

[재료 라이브러리 예시 (Physibel)]

(3-4세부) 결로방지성능 해석 S/W 개발

(3-4세부) 결로방지성능 해석 S/W 개발
3차원 전열해석 프로그램 패키지, 검증결과
  • ISO 기반 전열해석 Solver 개발
  • Auto mesh 생성 가능한 ModelerCustomized mesh generator 개발
  • 3D CAD 파일 Import 가능한 Pre-processor, 3D 그래픽 및 텍스트 리포팅 가능한 Post-processor 개발
  • GUI로 통합된 S/W 패키지 개발 및 기존 상용코드, 실측 결과와의 비교 검증

[3D 모델링 예시 (Physibel TRI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