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연구과제

연구개발방향

정책 분석에 따른 시사점
정책 분석에 따른 시사점
SO전략
  • 전국 규모의 누수방지 관련 중소기업 기술정보 체계 구축
WO전략
  • 누수예방 분야별 세부목표의 실질적 연구성과 유도와 환경친화적 기술분야의 접목
ST전략
  • 누수예방 전문분야별 상시 협의체제 구축 및 블루오션 시장확보
WT전략
  • 국내 전문 연구 인프라 확보를 위한 정책수립 및 장기적으로 체계적인 연구목표 수립

강점

  • 다중이용시설 및 국가 주요기반시설물 관리주체인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과의 누수예방에 대한 개별적 연구성과 축적

약점

  • 국내 누수예방 산업의 영세성 및 연구인프라 부족
  • 연구개발 인력 부족
  • 건설경기의 장기 침체로 기업 연구환경 열악해짐

기회

  • 실용기술에 기반을 둔 국토부의 관심 R&D 투자확대로 누수예방기술 연구 및 개발을 위한 기반 환경 조성
  • 미래 건설산업에 있어 고품질, 고부가 가치 창출분야로 누수예방기술 연구 및 개발을 위한 기반환경 조성

위협

  • 학제간(건설, 화학, 기계, 전자) 공동연구 및 전문분야별 협업체제 미흡
시장 분석에 따른 시사점
시장 분석에 따른 시사점
SO전략
  • 연구 인력 확보와 기존 기술 및 장비 인프라 활용 협력 시스템 구축
WO전략
  • 신공법 및 신기술 분야 확대 연구와 핵심기술 중점 연구하여 기술자립
ST전략
  • 학제간 공동연구 추진과 건축물 누수예방, 보수기술 확보
WT전략
  • 국가 경쟁력 향상 위한 누수예방 기술공유, 구조물별 기술부족의 장기적 보완, 기술자립을 위한 정보 폐쇄성 탈피

강점

  •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가 정보력, 관련 규격, 신기술 등 기반시스템 확보됨
  • 방수기술 제반 정보의 국제적 협력 네트워크 환경 구축
  • 국제적 수준의 연구 인프라 구축

약점

  • 국내 누수예방 기술력 확보에 대한 건설업계의 무관심
  • 신기술, 신공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국내 건설업계의 전통적 보수성
  • 핵심 건설기술에 대한 해외기술 의존에 따라 요소기술분야도 동일선상 인식

기회

  • 경제발전에 따른 누수예방에 대한 사회적 수요증대
  • 누수예방기술에 대한 산학연 관심 증대 및 정부 R&D 투자 중요성 증대
  • 누수예방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 급증

위협

  • 대부분의 연구 프로젝트가 일회성이고 부분적, 소규모로 이루어져 일률적, 체계적 기술축적 어려움
  • 누수예방 관련 문제점 및 해결과정이 폐쇄적으로 다루어져 기관별 요소기술 정보 교류에 대한 장벽 높음

연구개발 핵심성과

(4-1세부) 지하구조물 표준 방수설계 및 법/제도개선

(4-1세부) 지하구조물 표준 방수설계 및 법/제도개선
누수예방 설계기준 국토부 고시안 주거건축물 부위별, 형태별
표준 방수 설계 매뉴얼
웹(Web) 기반 방수성능/품질확보
관련 기술, 설계, 제품정보 공유시스템
  • 고도의 설계기술과 재료특성의 적절한 융합을 통한 선진국형 누수예방 설계, 시공, 유지관리 개념을 포함
  • 지하구조물 환경에 적합한 요구성능 및 선정평가체계 제시
  • 5년 이내 설계기술을 현수 준 대비 50% 이상 향상
  • 지하구조물 수밀화를 위한 시공 및 설계기반기술구축
  • 공동주택 지하구조물 특성에 맞는 방수공법별 표준시방서 구축
  • 설계 및 시공가이드라인 제시
  • 누수하자 90% 이상 저감
  • 방수기 술, 법령정보, 시방서, 누수 진단, 보수에 대한 정부-민간 통합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 각종 방수관련 법제도, 누수진단 및 보수사례 DB 구축
  • 방수기술 수준대비 80% 정 보 포함 수준 구축

[선진 외방수 설계 및 설계기준(예시)]

[누수예방 설계가이드 라인(예시)]

[웹기반 정보공유시스템
구축 및 활용사례]

(4-2세부) 최적 방수공법 선정평가 및 누수진단 체계 구축

(4-2세부) 최적 방수공법 선정평가 및 누수진단 체계 구축
최적 방수공법 선정 표준 평가 기법 및
평가 체계
방수공법 RWLCC 경제성 분석 프로그램 공동주택 부위별 표준 누수진단
전문 매뉴얼
  • 환경조건을 고려한 최적 재 료 및 공법 선정 기술체계(방수성능인증 체계) 구축
  • 국가표준화(ISO규격제안)를 위한 기술개발 및 성능 중심형 평가기술 표준 체계 구축
  • 복합열화분석용 3차원 거동대응 성능 시험장치 개발
  • 고분자 코팅재료 평가기술 체계 구축
  • 성능평가결과, 생애주기 기간별 비용분석의 중요도와 방수공법별 위험도 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제성 분석
  • 공법 위험도와 건축물의 라이프사이클 단계별 가중치를 고려한 RWLCC 비용평가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 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 취약부 특성별 진단체계구축
  • 지하구조물 수밀화를 위한 시공 및 설계기반기술 구축
  • 구조진단분야 대비 70% 이 상 수준 누수진단체계구축

[ISO 국제표준(안) 예시]

[LCC 경제성 분석 프로그램 활용 및
결과 도출(사례) 예시]

[안전진단 매뉴얼(사례)]

(4-3세부) 지하환경 대응형 방수재료 및 시공기술 개발

(4-3세부) 지하환경 대응형 방수재료 및 시공기술 개발
지하 선시공 역타설 방수재료 및 시공기술 합성폴리머계 고내구성 방수재료 모의침/유도방근 성능 시험방법 체계
  • 지하구조물 환경에 적합한 고점착재료 및 역타설 밀착형 방수기술 확보
  • 거동 10mm에 대응 가능한 고점착 방수재 개발
  • 고점착씰이 부착된 방수 시트를 활용한 시공기술 개발
  • 지하구조물 환경에 적합한 아스팔트 및 유황고무를 활용한 합성폴리머계 고점착씰 개발
  • 합성폴리머계 고점착씰과 일체화된 복합 시트 개발
  • 합성폴리머계 고점착씰이 부착된 방수시트를 활용한 시공기술 개발
  • 식물생육에 의한 평가기간 1년 이내로 단축
  • 온실내 평가기간 2년 이상에 상응하는 실내촉진 평가기법 개발
  • 뿌리 끝단부를 모사한 모의침에 의한 간접적인 시험방법 및 내구성능 평가기법 개발

[시트계 선시공 역타설 방수재]

[지하 건설여건에 적합한
방수공법 및 시공기술]

[모의침 /유도방근 시험방법]

(4-4세부) 누수부위 성능복원용 보수기술 개발

(4-4세부) 누수부위 성능복원용 보수기술 개발
합성폴리머계 누수보수재료 지하구조물 누수보수 시공기술
  • 지하구조물의 환경적, 물리적 열화요인에 대한 저항성 우수한 재료 개발
  • 재시공 후 하자발생 저감 가능한 재료 개발
  • 기 시공된 이종간의 재료 상용화 향상기술 개발
  • 누수부위 보수 후 재보수 확률을 기존 50%에서 10%로 저감시키거나 또 는 재누수가 되지 않는 기술 개발
  • 외방수층 열화시 방수층 재 형성 시공기술 개발

[유지관리 비용 절감 개념]

[자동화 누수보수 시공기술 개념]